일차성 생리통 | 이차성 생리통 | |
---|---|---|
구분 | 특별한 병변이 없이 나타나는 생리통 | 기저질환이 원인으로 나타나는 생리통 |
원인 | 프로스타글란딘 이라는 물질로 인해 지궁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하고 자궁혈관의 수축으로 인해 발생 | 자궁내막증, 자궁근종, 자궁선근증, 자궁내 피임장치 등이 원인으로 생리통이 발생 |
증상 | 생리 시작하기 전, 생리시작 직후 통증이 심해지며 48~72시간까지 지속 | 생리 시작하기 1~2주일 전부터 통증이 시작하여 생리 끝난 후에도 통증 지속 |
임신 | 임신일 경우 초기에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정상적인 임신인 경우에도 출혈이 있을 수 있으니 산부인과 검사가 필요합니다. |
---|---|
자궁, 난소종양 | 자궁근종, 자궁용종, 난소종양, 자궁경부암 등 질병이 있을 경우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초음파 및 각종 검사를 통해 원인 파악이 필요합니다. |
내분비 이상 | 갑상선 기능 이상,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으며, 생활습관교정과 호르몬 약물을 통해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. |
급격한 다이어트 | 급격한 다이어트로 체중 변화가 심하거나 다이어트를 위한 약물 복용, 비만주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|
심한 스트레스 |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갑작스럽게 환경적인 변화가 있었을 경우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|
약물복용 | 잘못된 피임약의 복용, 폐경기 호르몬 요법 등으로 여성 호르몬에 영향을 주게 되어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|